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주식기초
- 파생금융
- 금융기초
- 바닐라자바스크립트
- 경제학기초
- 경제학적설명
- 배열메소드
- case method
- 하버드MBA
- 비전공자개발자
- 국내수출
- 경제학적기초지식
- 자바스크립트
- 경제학
- 콜드콜
- devlift
- 비전공자 개발
- 파생경제학
- 문과 개발
- 7급경제학
- 개발자되기
- 개발자
- 채권기초
- 비전공자 코딩
- 케이스메소드
- 9급경제학
- 코딩
- 파생상품
- 경제학적개념
- 주식과채권
Archives
- Today
- Total
deVSner
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- new 와 this를 사용하는 곳? 본문
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에는 아래 4가지가 있습니다(es6제외)
1. functional
2. function - shared
3. prototypical
4. pseudoclassical
제가 이 4가지를 같은 날에 공부하려니, 헷갈리는 부분이 많았습니다.
선 코딩 후 이론의 방식이라, 개념적인 부분에서 모호한 부분이 많습니다.
그 때 그 때 필요한 이론을 채워넣고 있지만, 한 번 깊게 수렁텅이에 빠진 것은 재빨리 구해줘야...합니다 ㅋㅋㅋ
이번 러닝 로그의 주제는
객체 생성 시에, new 와 this를 타이핑 하는 '시점'입니다
pseudoclassical적인 방법에서만 new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,
1번 2번 3번의 방법에서도 new를 사용하여 객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.
이게 헷갈렸는데, 직접 만들면서 실습을 해 보니, 어느 정도는 해소되었습니다.
다음으로는 생성자 함수 영역 안에서의 this입니다.
여기서는 상속 시점에서의 bind(this)는 말씀드리지 않겠습니다.
오로지 생성자 함수 영역 안에서 this는 언제 쓰는가만 적어보겠습니다.
this는, pseudoclassical 방법으로 생성자 함수를 만들 때, 그 안에서 씁니다.
instance를 가리키는 것이지요.
정리하고 보니까, 몇 문장 안되는 말로 이렇게 정리가 되는데,, 좀 며칠을 고생했습니다
'개발 일지 > 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함수형 프로그래밍 정리 (0) | 2020.04.30 |
---|---|
구조 분해 할당이란? (7가지의 예제에 대한 코드와 설명 첨부) (0) | 2020.04.05 |
ES6 의 class 및 super 키워드에 대해 (0) | 2020.03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