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국내수출
- 문과 개발
- 비전공자 개발
- 하버드MBA
- 9급경제학
- 주식기초
- 채권기초
- 바닐라자바스크립트
- 경제학
- 코딩
- 경제학기초
- 경제학적개념
- 경제학적기초지식
- 자바스크립트
- 케이스메소드
- 개발자되기
- 파생상품
- 파생경제학
- 개발자
- 금융기초
- 7급경제학
- 파생금융
- devlift
- 비전공자 코딩
- 배열메소드
- 경제학적설명
- 주식과채권
- case method
- 비전공자개발자
- 콜드콜
- Today
- Total
deVSner
ES6 의 class 및 super 키워드에 대해 본문
지난 러닝로그에 이어서, ES6의 최신 문법을 활용한 객체를 생성해 보겠습니다.
아래와 같이 코드를 구성했다면, 이것을 class를 이용해서 똑같이(더 좋게) 구현할 수 있습니다.
그 전에, 간단히 코드를 설명하고 넘어가겠습니다
Human 생성자 함수와, Student생성자 함수가 있습니다.
Human은 프로토타입으로 sleep 메소드를 가지고 있고, Student함수는 learn메소드를 가지고 있습니다.
Human을 통해 스티브 객체를 만들었고, Student함수를 통해 존 객체를 만들었습니다.
두 개의 생성자 함수이지만, Student는 Human을 상속받게 하려고 합니다.
또한, 존에게서 sleep 메소드를 활용하고 싶습니다.
그럼 해야 할 거는 2가지입니다.
1. Student.prototype = Object.create(Human.prototype)
2. Student 생성자 함수 안에서, Human.apply(this, arguments)
를 작성하는 것입니다. (이유는 지난 러닝 로그 시간에 설명했습니다. 참고 해 주세요)
이렇게 되면, 코드가 상당히 복잡?해지는 느낌입니다
이제 이 코드를 ES6문법 class와 super를 통해 바꿔보겠습니다
따란!
class 를 활용하여 객체를 생성하는 코드입니다.
class Human을 통해 Human이라는 생성자를 만들고
그 밑에서 constuctor를 줌으로써 name 이라는 매개변수를 받게 합니다.
추가할 메소드들은 그 안에 하나씩, 메소드명만 작성하여 넣어주면 됩니다.
Student도 똑같이 해 주면 되는데,
이 둘을 잇는 키워드가 있습니다.
그것이 extends입니다
사진에 보시면 Student 생성자 함수 라인에서 위치해 있습니다.
class Student {
constructor (name) {
super(name) ;
}
.
.
.
super의 뜻은
상속해 주는 Human의 this 실행 컨텍스트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합니다.
하지만, 자식의 constructor 와 부모의 constructor가 동일하다면, 자식의 constructor는 생략이 가능합니다.
'개발 일지 > 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함수형 프로그래밍 정리 (0) | 2020.04.30 |
---|---|
구조 분해 할당이란? (7가지의 예제에 대한 코드와 설명 첨부) (0) | 2020.04.05 |
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- new 와 this를 사용하는 곳? (0) | 2020.04.02 |